arrow_upward
본문 바로가기

Tool3

k6 개념 및 사용법, JMeter와 비교 이전 포스팅에서 JMeter를 사용한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에는 k6에 대해서 알아보고 k6의 사용방법 및 JMeter와 어떤 차이가 있는 확인할 것이다. k6란? k6는 현재 Grafana Labs의 제품 중 하나로 오픈 소스이며, 개발자 친화적이고 확장 가능한 부하 테스트 도구이다.k6를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스크립트를 통해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CLI 환경에서 실행하여 HTTP 요청에 대한 부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k6는 성능 테스트를 "가상 사용자"로 시뮬레이션한다. 각 가상 사용자는 지정된 시간 동안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반복하거나 병렬로 보내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과 반응 시간을 측정한다. k6의 사용 목적부.. 2025. 5. 28.
JMeter 개념 및 사용법 JMeter란?JMeter는 Apache 재단에서 만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부하 테스트 및 성능 측정을 위해 설계된 자바 애플리케이션이다. JMeter는 정적 및 동적 리소스,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테스트에 사용할 수 있다. 서버, 서버 그룹, 네트워크 또는 객체에 과부하를 시뮬레이션해서 그 강도를 테스트하거나 다양한 부하 유형에서의 전반적인 성능을 분석하는데 활용된다. JMeter의 주요 특징JMeter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버, 프로토콜에 대한 성능 테스트가 가능하다.HTTP, HTTPS(Java, node.js, PHP 등), SOAP, REST API, FTP, SMTP, POP3, TC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JMeter는 GUI를 제공하므로, 복잡할 수 있는 테스트 설정 및 .. 2025. 5. 27.
[Gradle] build.gradle과 동작 원리 Gradle은 오픈 소스 빌드 자동화 도구로 Groovy나 Kotlin DSL(Domain-Specific Language)을 사용해서 작성된다.자바, C/C++, 파이썬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며, 강력한 의존성 관리 및 빌드 스크립트를 통해서 프로젝트의 빌드 과정 및 설정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build.gradlebuild.gradle 파일은 프로젝트의 빌드 구성을 정의하고, 프로젝트가 어떻게 빌드될 것이며 어떤 종속성이 필요한지 설정하는 스크립트다. Gradle Task는 이 스크립트의 메서드들을 빌드 시에 실행시킨다.이 파일은 Projec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로 Project 인터페이스는 Gradle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다양한 API를 제공한다.build.gradle에서 사용되는.. 2024. 4. 18.